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원문 텍스트
0 / 2000
문자와 공백 포함하여 최대 2000자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원문 표점 텍스트

텍스트를 클립보드에 복사하였습니다.

편집기에서 crtl+V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붙여넣기' 하십시오. '아래한글', 'MS Word' 등 전문 편집기 프로그램 사용을 권장합니다.

WINDOWS '메모장'에서 '붙여넣기' 를 하면, 일부 글자가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확인

텍스트 파일로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확인
알림

확인
도움말 팝업창 입니다.
도움말
본 서비스는 Windows11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는 Internet Explorer, Chrome, Microsoft Edge, FireFox, Opera, Naver Whale 등 입니다.
단, 낮은 버전의 Internet Explorer에서는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Apple Safari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서비스는 '인공지능 한문 자동 문장분절 모델'을 활용하여 문장 구분이 없는 고문헌 한문 문장에 온점(。)을 입력하여 문장을 구분해줍니다.
본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인공지능 한문 자동 문장분절 모델'은 고문헌 속의 한문에 대한 현대의 문장분절(표점) 결과를 학습하여 개발되었습니다.
※간체(简体)로 작성된 현대 중국어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인공지능 한문 자동 문장분절 모델'의 문장 분절(구분) 결과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문장 분절 결과를 활용할 때는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자동 문장분절에는 평균 1초 이내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인터넷 이용 환경에 따라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본 서비스는 한 번에 기본 2,000자의 한자 텍스트를 문장분절 할 수 있습니다.
문장분절 대상 한문은 <원문 텍스트> 창에 입력해야 합니다.
①다른 텍스트 파일이나 웹콘텐츠에서 복사해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②내 컴퓨터에 있는 한문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txt 파일만 가능)
③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④[입력한 원문 내려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한문을 내 컴퓨터에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txt 파일)
⑤창 왼쪽 하단의 지우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입력한 내용과 문장분절 결과가 삭제됩니다.
⑥[새작업] 버튼을 클릭해도, 입력한 내용과 문장분절 결과가 삭제됩니다.
입력한 문장분절 대상 한문에 포함된 한자와 문장부호 이외의 문자는 문장분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문장분절 결과에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문장분절 결과는 <원문 표점 텍스트> 창에 출력됩니다.
①문장분절 결과는 마우스로 드래그 후 키보드에서 Ctrl+C 키를 누르거나,
화면의 [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복사할 수 있습니다.
②[내려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문장분절 결과를 내 컴퓨터에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txt 파일)
<원문 표점 텍스트> 창에 출력된 문장분절 결과는 표점(온점 : 。)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방법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①표점 삭제 : 마우스로 표점(。)을 우클릭하면, [표점(。) 삭제] 버튼이 활성화 되어 표점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②표점 추가 : 표점을 추가하고자 하는 위치의 바로 앞 한자를 마우스로 우클릭하면, [표점(。) 삽입] 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원문 표점 텍스트> 창에서의 사용자 수정내역은 추후 더 나은 '인공지능 한문 문장분절 모델'의 개발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본 서비스는 하루에 5회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한문 자동 문장분절 학습용 데이터의 원시데이터 제공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고전번역원, 국사편찬위원회
도움말 팝업창 닫기